- [ZOOM IN] 보궐선거 참패가 주는 교훈
- 최철원 논설위원 2023.10.23
- [일요주간 = 최철원 논설위원] 강서구 보궐선거에서 국민의힘의 참패는 보궐선거에서의 참패가 아니라 윤석열 정부에 대한 국민의 전반적인 비판과 거부를 나타낸다고도 볼 수 있다. 내년 총선을 앞두고 강서구민이 현 정권에 내린 심판의 원인 ...
- 당신이라는 브랜드(Brand)는 무엇인가? [허준혁한방]
- 허준혁 칼럼니스트 2023.10.17
- [일요주간 = 허준혁 칼럼니스트] “Hello?”를 전화인사로 처음 제안한 사람이 있다. 놀랍게도 '발명왕' 에디슨이다. 'Hello'는 옛 독일어 'halâ', 'holâ'에서 왔는데 주의를 끌거나 일종의 감탄사같은 말이었다고 ...
- [기고] 웰 다잉이란
- 최철원 논설위원 2023.10.10
- [일요주간 = 최철원 논설위원] 정년퇴직 후 집에서 백수 생활을 하던 아내가 갑자기 바빠졌다. 어딜 가는지 일주일에 네 번은 출근하듯 아침 시간에 바삐 나간다. 같은 직장에서 함께 근무했던 동료가 "우리 나이는 삶보다 죽음을 생각해야 ...
- [전경복의 현장청론] 대한민국의 고질적 병폐(病廢)- 뉴-교육운동으로 척결(剔抉)하자!
- 전경복 편집위원 2023.10.10
- [일요주간 = 전경복 편집위원] 현재 거의 사라진 “개천에서 용이 난다.”라는 말이 지난날 경향(京鄕) 각지에서 빈번히 회자했다. 특히 시골 청소년들은 서울에서 ‘청운(靑雲)의 뜻’을 성취하기 위해 그들의 강한 욕구와 이상(理想)이 ...
- [ZOOM IN] 한글 창제 그 의미가 퇴색되어가고 있다
- 최철원 논설위원 2023.10.10
- [일요주간 = 최철원 논설위원] 한글 577년의 장구한 역사에서 언문으로 쓴 최고의 문장은 단연 두 개다. 세종 임금의 훈민정음 '서문'과 녹두장군 전봉준의 '포고문'은 지금 읽어 보아도 전율이다. 왕조시대 탐관오리와 양반들의 수탈에 ...
- [기고] 명절과 타향살이
- 최철원 논설위원 2023.10.04
- [일요주간 = 최철원 논설위원] 가을, 한가위 날 동산 위에 뜬 둥근달, 오곡이 무르익는 들녘 생각이 마음을 들볶아 고향을 찾게 한다. 여름의 땡볕과 산자락의 물소리가 잦아들면 뜨겁고 힘든 시간을 지나온 나무는 가지에 주렁주렁 열매를 ...
- 추석이 보름달인데 송편이 반달인 이유 [허준혁 한 방]
- 허준혁 칼럼니스트 2023.09.29
- [일요주간 = 허준혁 칼럼니스트] 세계곳곳에 흩어져 있어도 추석만큼은 우리 민족에게 가장 큰 명절임은 분명합니다.지난날.. 추석때만 되면 도시로 나간 자식들은 가족들의 옷이나 새로 나온 캐시미어 담요, 전기밥통 등을 들고 부모님을 찾 ...
- K팝 '한국어 떼창'과 한국어의 UN공용어 지정 [허준혁 한 방]
- 허준혁 칼럼니스트 2023.09.21
- [일요주간 = 허준혁 칼럼니스트] 한국인의 '떼창(singalong)' 문화가 전세계적으로 새로운 K공연문화를 이끌고 있다. 전세계 어디를 가든 K팝 스타들의 공연장에서는 ‘떼창’이 울려 퍼지고 있는 것이다. 제 25 회 세계 스카우 ...
- [전경복의 현장청론] 인성과 리더십(Leadership 指導者서의 指導力)
- 전경복 편집위원 2023.09.19
- [일요주간 = 전경복 편집위원] 최근에 우리 사회의 전국 곳곳에서 사람으로서 인간이 도저히 상상할 수 없는 일을 바로 눈앞에서 처절하고 참혹한 참상을 벌이고 있는 까닭에 국가가 주도하여 특히 “청소년뿐 아니라 장년, 노년에게도 인성교 ...
- K-한류의 완성, 한국어와 한글의 UN공용화 [허준혁한방]
- 허준혁 칼럼니스트 2023.09.15
- [일요주간 = 허준혁 칼럼니스트] 해마다 전 세계 언어 순위를 발표하는 '에스놀로그(Ethnologue)'에 따르면 2022년 현재 전 세계에서 사용하는 언어 수는 7151개라고 한다.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언어는 영어로, 모국어 또는 ...
- [ZOOM IN] 지나친 일방성에 동의할 수 없는 이념 논쟁
- 최철원 논설위원 2023.09.12
- [일요주간 = 최철원 논설위원] 물가가 오르고 경기가 나쁘니 주의를 되돌아볼 겨를이 없는데 세상은 이념 전쟁으로 바람 잘 날이 없다. 서민은 이념이 무엇인지 헛갈리는데 정치권은 사실도 진실도 애매한 이념 허상에 매달리며 저잣거리는 온 ...
- [전경복의 현장청론] 교사가 죽었고 공교육도 죽었다
- 전경복 편집위원 2023.08.21
- [일요주간 = 전경복 편집위원] 2023년 7월 20일 오후 1시경 유례없는 초임교사의 비통하고 참담한 조문 현장인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이초등학교로 견고한 애이불비(哀而不悲) 심정으로 고슴도치 발길로 향했다. 필자는 초등학교 교사 경 ...
- [ZOOM IN] 정치, 법조 카르텔 타파가 우선이다
- 최철원 논설위원 2023.08.18
- [일요주간 = 최철원 논설위원] 장기 불황으로 서민의 살림이 거덜 나서 실업자가 넘쳐나고 수많은 자영업자가 죽는다고 아우성치는데 사회 기득권자들의 이권 카르텔 문화는 너무 단단하게 굳어져 어디서부터 파헤쳐야 하는지, 파면 팔수록 번져 ...
- 국가차원에서 한국어를 제7의 유엔(UN)공용어로 [허준혁 한방]
- 허준혁 칼럼니스트 2023.08.16
- [일요주간 = 허준혁 칼럼니스트]유엔의 공식 언어는 영어(영국 영어), 프랑스어, 러시아어, 중국어(표준 중국어와 간체), 스페인어, 아랍어(현대 표준 아랍어) 이다. 성명을 발표하기 위해서는 6개 공식 언어들 중 하나로 작성된 통역 ...
- [ZOOM IN] 우리사회 안전망 나는, 괜찮을까
- 최철원 논설위원 2023.08.04
- [일요주간 = 최철원 논설위원] 지금은 사라져 눈에 띄지 않지만, 오래전만 해도 "오늘도 무사히"라는 글과 기도하는 소녀의 모습이 담긴 그림이 여러 곳에 걸려 있었다. 안전에 취약했던 시절. 우리 사회는 무사함을 기도해 준 여러 사람 ...
- 세계한인 비즈니스 컨벤션과 디지털 전환(DX) [허준혁한방]
- 허준혁 칼럼니스트 2023.08.03
- [일요주간 = 허준혁 칼럼니스트] 비즈니스의 디지털 재구성 '디지털 전환 (Digital Transformation, DX 또는 DT)'이 핵심 산업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.기업 각부문에 사물인터넷(IoT)-인공지능(AI)-빅데이터-가 ...
- 2023 세계한인 비즈니스 컨벤션과 컨벤션효과 [허준혁한방]
- 허준혁 칼럼니스트 2023.07.26
- [일요주간 = 허준혁 칼럼니스트]마이스(MICE) 산업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각광을 받은 지는 그리 오래 되지 않았다. 회의(Meeting)·포상관광(Incentives)·컨벤션(Convention)·전시회(Exhibition)의 머 ...
- [전경복의 현장청론] 사교육비 증가의 절대적 제1원인은 영어시험이다.
- 전경복 편집위원 2023.07.19
- [일요주간 = 전경복 편집위원] 대한민국이 향후 명실상부한 G2 국가로 세계사의 중심, 중추 국가로 반듯하게 반석에 안착하려면 절대 장애물인 총체적 사교육비 증가 문제를 하루라도 빨리 근본적으로 척결함에 있다고 단언해도 결코 잘못이 ...
- '대한민국의 정체성' 제헌절을 법정 공휴일로 재지정해야 [허준혁한방]
- 허준혁 칼럼니스트 2023.07.17
- [일요주간 = 허준혁 칼럼니스트] 3.1운동을 기점으로 중국 상하이에 모인 독립운동가들은 임시의정원 회의를 개최하고, 1919년 4월 11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첫 헌법인 ‘대한민국 임시헌장’을 공포하였다. 대한민국 임시헌장은 국호를 ...
- [ZOOM IN] '정도'에서 벗어난 정치 이대로 괜찮나
- 최철원 논설위원 2023.07.14
- [일요주간 = 최철원 논설위원] 조선 왕조의 몰락은 여러 요인이 있지만, 그 중 대표적인 것 하나는 단연 붕당 정치의 패습 때문이다. 정도(正道)에 벗어나는 패습은 정도(程度)껏 해야 하나 정도(正度)를 넘어서기에 문제로 이어졌다는 ...
많이 본 기사
'성과급 중단·‘가족 경영’에 반기' 렉서스·도요타 노조 파업 돌입…사 측 "실적 기준에 미달·오너 장남 경영 능력 갖춰"
- 노동조합, 성과급 지급 중단·기본급 미달에 "더는 못 참아"…경영진 가족 수익 개입 의혹 제기 회사 측 "성과급, 올해는 실적이 기준에 미달해 미지급...장남은 일본 도요타 10년 근무 경력"